-
엔지니어링 스쿨의 조직 구성 및 역할엔지니어링 스쿨 소개(An Introduce to YES)/조직구성 및 비즈니스 범위(Business Scope) 2019. 8. 31. 23:56
엔지니어링 스쿨을 크게 (1) 부설연구소, (2) 교육사업부, (3) 엔지니어링 사업부, (4) 프로세스 사업부, (5) 첨단사업부로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설연구소를 중심으로 각 사업부에서 진행 및 계획하는 기술역량에 대한 지속적인 강화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교육사업부는 교육분야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교육업무 수행 및 개별 사업부에서 개발되는 교육교재 검수 및 미래 교육 컨텐츠 개발에 노력합니다. 첨단사업부는 4차산업을 기반(빅데이터, 인공지능, 드론, 3D 프린터 등)으로 핵심기술의 융합 및 SW중심기술에 관한 업무를 관장합니다. 엔지니어링 스쿨을 구성하는 조직별 역할 및 비즈니스 모델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상담 및 문의사항 있으신 분들은 편하게 아래로 연락 주십시요. 감사합..
-
About We.엔지니어링 스쿨 소개(An Introduce to YES)/About We. 2019. 8. 31. 23:38
엔지니어링 스쿨은 구성원 모두가 15년 이상의 교육 및 컨설팅 경험을 가진 기관입니다. 국내 명문대학의 교수 출신 및 산업체에서 다양한 산업군에서 최고의 경력을 지닌 핵심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청소년/대학생/직장인/기업/기관을 대상으로 우리 사회가 직면한 기초소양, 실무교육, 공학교육, 4차산업 기술 기반의 융합산업 기술에 대해서 우리는 교육, 컨설팅, 용역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새롭게 파생되는 기술에 대해서 우리는 그동안의 경험과 연구에 대한 노력으로 기술적 역량에 대한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스쿨은 우리 사회가 요구하는 공학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찾아가 해결하겠습니다. 자세한 상담 및 문의사항 있으신 분들은 편하게 아래로 연락 주십시요. 감사합니다. ^^
-
엔지니어의 관점 'What' vs 'How'기관 교육/공통_시스템공학(Systems Engineering) 2019. 4. 2. 13:59
필자는 왓!(What)과 하우!(How)라는 단어를 처음 접한 것은 중학교에 입학해서 처음 만난 단어였다. 우리가 잘 아는 직관적인 의미에서는 'What'은 '무엇'을 의미하고, 'How'는 '어떻게'를 의미한다. 해당 단어를 언어적 의미를 다시 새겨보면, what은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의미'이다. 또한, How는 '어떠한지 궁금해하다'라는 의미학적 뜻을 내포하고 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사회, 특히, 엔지니어링 사회는 What이 간과되고, 보다 빠르게 개발/양산/시장에 진입을 위해 제품/시스템/아이템이 얼마나 그럴듯하게 빠르게 만들어 시장에 진입하는데 상당한 세월을 보내왔다. 우리가 개발하고 연구하는 대상이 지닌 본질에 대한 이해를 하기 이전에 내가 만들고 다루는 대상을 어떻게(How)하면 남들보다..
-
시스템의 본질과 시스템공학 이야기기관 교육/공통_시스템공학(Systems Engineering) 2019. 4. 1. 00:50
부모님께서 물려주신 우리 인체는 다양한 신체부위를 지니고 있다. 팔, 다리, 코, 귀, 표면으로 보이는 신체 부위를 포함하여 몸안의 장기까지 고려하면 신체에는 다양한 구성의 부위가 있기 마련이다. 또한, 각각의 부위는 제 각기 본연의 기능이 있기 마련이다. 코로 숨을 쉬고, 입으로 음식을 섭취하고, 눈을 통해 사물을 인지하고, 팔을 통해 물건을 옮길 수도 있다. 이처럼 신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시스템 관점에서 구성품(Component)라고 한다. 또한, 코로 숨을 쉬는 것처럼, '코'라는 구성품이 '숨을 쉰다'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시스템 또는 설계적 관점에서 기능(Function)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시스템(System)을 정의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서문(Preface)_다가오는 미래와 시스템공학(Systems Engineering)기관 교육/공통_시스템공학(Systems Engineering) 2019. 3. 31. 17:43
다가오는 미래와 시스템공학(Systems Engineering)에 대해서... 오늘날 현대시대에서 개발되는 시스템은 매우 복잡한 시스템적 구조를 기반으로 설계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로 이어지는데 있어서는 인류가 지속적인 기술발전을 해왔기 때문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휴대폰은 과거 10년 전만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은 3G망을 기본으로 한 휴대폰을 사용해 왔다. 한국의 특성을 반영하듯, 대부분의 휴대폰 사용자는 4G LTE 망을 사용하게 되면서 되돌아보면 무심히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원활한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많은 사용자들은 사용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의 등장은 새로운 신규시장의 오픈과 우리경제가 지속 가능한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성장 원동력이 되고 있다. 앞에서 언급한 휴대폰 시장은 20..